사단법인 도시인프라 정책연구원

 
정책제안
주요활동
보도자료
보도기사
 
 
 Home > 정책제안> 주요활동
주요활동
 
1차토론회, ‘서울시 도시인프라노후화 관리방안 토론회’ 개최
작성자 정책연구원 등록일 2019-06-25 조회수 1399
첨부파일


‘서울시 도시인프라시설 노후화 관리방안 토론회’ 개최



사단법인 도시인프라정책연구원(강감창 이사장)은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원회와 공동으로 ‘서울시 도시인프라노후화 관리방안 토론회’ 를 개최하였다.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2층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이날 토론회는 우형찬 의원의 사회로 진행된 가운데 서울시의회 김기덕 의원, 김제리 의원, 김춘례 의원, 성중기 의원, 오중석 의원, 이병도 의원, 이승미 의원, 정지권 의원, 추숭우 의원, 서울시와 교통공사 및 시설관리공단 간부와 각계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하여 깊은 관심을 보였다.


본 연구원 강감창이사장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도로시설물중 노후도가 30년을 초과한 한강교량 42.9%, 일반교량 37.0%, 고가차도 42.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붉은 수돗물 관련 상하수도의 노후도를 보면 문제의 원인을 실감할 수가 있다. 서울시 상수관로 13.587km20년을 경과한 관로가 54.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수관로의 경우 30년을 초과한 관로만 무려 50.1%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한 지하철관련 주요시설물중 노후도가 30년을 초과한 교량 67.5%, 터널 33.8%, 역사 36.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이사장지금까지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등 지하철편의시설에 대한 공급이 도시의 경쟁력을 높여왔지만 내구연한에 도래한 시설에 대한 막대한 유지보수재원의 한계에 봉착되면 오히려 도시 경쟁력의 걸림돌로 되돌아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밖에 노후 지하철에 대해서 김상훈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974년 개통 후 45년이 돼 가고 있는 서울지하철 1호선을 비롯한 지하철관련 인프라가 제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인우 나다 E&C 부설연구소소장은 탄력적도시에서 시민의 역할과 회복탄력성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도시인프라의 체계적관리를 위한 자산관리프로세스, 리스크기반 도시인프라 관리방안, 등을 제시하며, 재난 발생시 도시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분권화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채명진 코네티컷 주립대학교 교수는 효용성 이론을 이용한 도시인프라시설 자산관리 우선순위 선정방법을 소개했고, 이성엽 기업재난관리사는 지하관리체계 산업육성을 위한 국내기술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회의 좌장을 맡은 정종수 숭실대학교 재난안전관리학과 교수는 지하시설 관리 산업 육성을 위해 국내 기술 지원은 단기적 처방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을 지적하며, “지하인프라 시설관리 초인류국가를 지향하기 위해서 국내기술개발과 육성정책에 대한 전략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번호 제 목 작성 날자 조회
12 2020년도 제1차 임시총회 개최 정책연구원 2020-05-19 2003
11 제4차 이사회 개최 정책연구원 2020-05-06 1347
10 2019 정기총회 개최 정책연구원 2020-01-20 1452
9 제3차 이사회 개최 정책연구원 2020-01-20 1376
8 제2차 이사회 개최 정책연구원 2020-01-07 1289
7 2차토론회, '계측자동화 어디까지 왔나?' 자동계측 제도화방안 모색 정책연구원 2019-08-23 1503
6 1차토론회, ‘서울시 도시인프라노후화 관리방안 토론회’ 개최 정책연구원 2019-06-25 1399
5 제1차, 이사회 회의 개최 정책연구원 2019-05-14 1245
4 사단법인 도시인프라정책연구원 공식 출범 정책연구원 2019-04-30 1339
3 사단법인 도시인프라정책연구원 창립을 위한 발기인 회의 개최 정책연구원 2019-04-11 1322
1 2 3
 
 
 
 

사단법인 도시인프라 정책연구원
주소 : 서울 송파구 송파대로49길 33 (석촌동, 세화빌딩)301호 | 대표자 : 신희수
전화번호 : 02)423-3006 | 팩스 : 02)422-3007
COPYRIGHT © 사단법인 도시인프라 정책연구원 . http://www.mipi.kr All Rights Reserved.